한화시스템, 국내 방산기업 최초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 ‘AAA’ 획득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AA’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MSCI는 전 세계 8500여 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과 비재무적 리스크 관리 역량을 평가하며, 최고 AAA부터 최저 CCC까지 7단계 등급을 부여한다. 이번에 한화시스템이 받은 AAA는 전 세계 우주항공·방산 부문 평가 대상 기업 중 상위 7% 이내 기업만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국내 방산기업이 이 등급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9월 19일 대전시 중구 으능정이 거리를 방문, 지역 골목상권을 둘러보고 있다.
9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보다 31만 2000명 늘었다. 내수 회복과 소비쿠폰 등 정책효과로 숙박음식, 예술·여가, 도·소매업 중심의 고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고용 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가 2915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 2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7%, 15~64세 고용률은 70.4%로 각각 0.5%포인트 상승해 9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경제활동참가율도 65.0%로 0.4%포인트 올랐으며, 실업률은 2.1%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서비스업이 전체 고용 증가를 견인했다. 숙박·음식점업(2만 6000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7만 5000명), 도·소매업(2만 8000명) 등이 전달보다 취업자 증가폭이 확대됐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문화쿠폰’ 정책, 추석 전후 소비 확산이 고용 개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농림어업(-14만 6000명), 건설업(-8만 4000명), 제조업(-6만 1000명)은 감소했다. 다만 건설업은 수주 개선 등 선행지표의 회복으로 감소폭이 다소 둔화됐다. 제조업 역시 미국 관세 등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반도체 등 수출 호조가 상방 요인으로 작용해 보합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8만 1000명)과 30대(13만 3000명)의 고용이 늘었으나, 20대(-13만 4000명), 40대(-4만 5000명), 50대(-1만 1000명)는 감소했다. 청년층의 경우 ‘쉬었음’ 인구가 5개월 연속 감소하며 고용률 하락폭이 줄었으나, 경력직 선호 등 구조적 요인으로 여전히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임금근로자는 2257만 6000명으로 전년보다 38만 6000명(1.7%)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34만 명(2.1%), 임시근로자는 4만 4000명(0.9%), 일용근로자는 2000명(0.3%) 늘었다. 반면 비임금근로자는 647만 7000명으로 7만 5000명(-1.1%) 감소했다. 상용근로자 비중은 57.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경기회복과 고용 창출의 선순환을 이어가기 위해 내수 활성화와 대외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추진을 통해 미래 일자리 창출과 청년층 고용여건 개선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 회복세를 확산하기 위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차질 없이 지급하고, 코리아세일페스타·동행축제·듀티프리페스타 등 개별 행사들을 통합해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대규모 합동 할인축제를 열 예정이다.
케데헌 드론라이트쇼 앙코르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