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밤나무 꽃이 피면 아름다워요
  • 海垣, 이경국 칼럼니스트
  • 등록 2025-10-21 11:41:28
  • 수정 2025-10-23 11:51:03

기사수정

 海垣, 이경국(칼럼니스트)밤나무는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밤실(栗里)이란 마을도 무척 많다. 어릴적 필자의 동리가 '밤실'이다.


몇 그루의 밤나무가 있었는데 지금은 밤나무는 없고 이름만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밤은 제삿상에 오르는 부동의 과수다. 조.율.이.시(棗栗梨枾)의 두 번째가 밤이다. 구운 밤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제사 때 밤을 치는데  필자는 그 기술이 좋은 편이다. 


우리말 표현이 이상한 경우가 있다. '밤은 친다'고 한다. '묵은 처먹는다'는 표현을 쓴다. 고스톱에서는 똥을 먹으란다. 이는 며느리가 시아버지께 말해도 다들 좋아 싱글벙글 한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불가(不可)하다. 한글의 위대함이다.


밤송이는 가시가 있어 가까이 하기 쉽지 않다. 때가 되면 떡 벌어져서 알밤이 떨어지면 새벽에 먼저 가서 줍기도 했다. 


김삿갓의 시 한 구절이 스친다. "후원황율불봉탁(後園黃栗不蜂坼)--- 뒷 동산 밤송이는 벌이 쏘지 않아도 절로 터진다오." "처녀니 비처녀니 하지 말라"는 것이다. 남자가 희롱하니 처녀가 화답한 시의 한 구절이다.


밤나무 꽃이 필 때는 과부의 바깥 출입을 금하게 했다. 과부가 바람 나면 동리가 시끄러워지기 때문이다. 정말 밤꽃 냄새는 정액과 같으며 너무나 노골적이다. 


처녀는 뭔지 모르기 때문에 출입을 허용했다. 글쎄 세상이 그때는 순진했었는가 보다. 요즘 처녀들은 밤꽃 향을 알까.


밤은 공주에서만 나는 게 아니다. 도처에 관리를 하지 않아 떨어진 밤들이 많았다. 소풍 삼아 밥줍기를 다닌 기억이 난다.


밤과 도토리는 열매 자체가 씨앗이다. 밤송이에 가시가 돋아 있는 것도 일리가 있을 것이다.


어릴 적  농담처럼 하던 한 토막의 얘기가 떠오른다. "까끌이 밑에 뺀질이ㅡ뺀질이 밑에 털부리ㅡ털부리 밑에 달콤이..." 이렇게 밤송이에서 달콤한 밤이 되는 모습을 읊으면서 웃었다.


생밤, 구운 밤, 삶은 밤 등 맛이 다 좋다. 바싹 말려 먹으면 곳감과 함께 가장 좋은 주전부리가 되었다.


감은 너무 흔해서 그렇지 타닌 성분이 있어 인체에 좋은 과실이다. 무우도 흔해서 인삼 대우를 받지 못할 뿐이다.


필자의 고향 풍산평야의 무우는 자연교과서에 나오기도 했다. 지금은 풍산김치로 명맥을 겨우 유지해 오고 있다.


소싯적에 "풍산들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다"며 좋아했다. 홍수가 나서 물이 들면 뒷산에 올라 구경을 했는데 물구경은 자고로 좋은 구경거리임에 틀림없다.


그 시절이 눈물겹게 그립다. 어머니가 안 계시는 고향은  타향만 같다. 오기택의 <고향무정>을 불러보니 마음이 착찹해진다.


주인이 떠나버린 고향은 텅 비어 있기 마련이다. 초등학교는 학생과 선생의 수가 비슷하다. 이러한 세상은 감히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사실 AI시대에 손주들이 어떻게 적응하면서 살아 나갈지 저으기 걱정된다. 역사는 순환· 발전· 반복하는데 분명히 '지금 같은 시대'가 과거에도 있었을 것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길상사, 자야와 백석의 사랑 조선시대 유명한 명기 황진이는 옆집 총각이 자기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그만 상사병으로 죽게 된 사실을 알고서 세상 일을 다 접고 기생의 길로 들어섭니다.시심(詩心)이 풍부한 여성으로 '남자의 사랑'에 대한 호기심이 남달랐다는 생각이 듭니다.어느 누가 황진이를 비천한 기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가 남긴 시(詩)는 심...
  2. 사라진 도깨비여 부활하라! 현대문명에 밀리어 수 천년 내려온 것들 가운데 사라진 것이 많아져 여간 아쉽지 않다. 우선 도깨비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도깨비라는 좀 두려운 것이었다.도깨비는 동물이나 사람의 허상을 한 일종의 귀신인데 산길이나 들길에서 마주친다고 한다.도깨비는 사라지고 없지만  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셈이...
  3. 아름다운 손주 이야기 손주란 손자와 손녀 그리고 외손자와 외손녀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물론 손주가 없어 대(代)가 끊기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인간이 수많은 별 가운데 지구에 태어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가장 커다란 족적은 역시 가정을 이루어서 대(代)를 이어 나가는 것임을 필자는 여러 번 밝힌 바 있다.이는 박사 학위 논문을 여..
  4. 못생긴 호박과 모과 소싯적에 못생긴 여자를 일컬어 호박같다고 했다.더러는 모과같다는 표현도 서슴없이 쓰기도 했다.우선 호박은 펌퍼짐하게 생겨서 넉넉하게 보이긴 하지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다.그러나 호박은 구르는 재주가 있으며 넝쿨째로 복이 굴러온다고 했다.20세기부터 항암작용을 하는 식품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지금은 제대로 평가를 받..
  5. '하늘의 복'을 받은 책벌레 이야기 책에도 벌레가 생겨서 기생하기 마련이다. 이름 하여 절지동물에 속하는 충(蟲)이다.그보다 책에 파묻혀 지내는 독서광을 라고 한다. 몇 해 전 400여 쪽이나 되는 책을 몇 권 선물로 받아서 연달아 다 읽은 적이 있다. 소중한 시간을 그냥 보내면 낭비하는 듯하여 책을 읽는다. 읽는 습관이 저절로 쌓인 듯하다.자투리 시간도 아까워 스마트폰..
  6. ‹MUNDUS–빛은 동방에서›, 도예가 이종능 전시회 도예가 이종능 작가가 오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서울 인사동 통인화랑 3층에서 개인전 ‘MUNDUS’를 선보인다. 전시 제목 ‘MUNDUS’는 라틴어로 ‘세상’ 혹은 ‘우주’를 뜻하며, 작가는 흙을 매개로 생명의 순환과 우주적 에너지를 도자 작품에 담았다. 대표작 ‘Aurora ex Marte(화성에서 온 오로라)’와 ‘Anthle...
  7. 구로구, 1인 가구 어르신 대상 건강 요리 교실 운영 구로구가 1인 가구 어르신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건강 요리 교실을 운영한다.서울 구로구(구청장 장인홍)는 오는 11월 10일부터 27일까지 관내 65세 이상 1인 가구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 요리 교실을 연다. 이번 프로그램은 혼자 식사를 준비하는 어르신들이 스스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