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국내 방산기업 최초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 ‘AAA’ 획득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AA’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MSCI는 전 세계 8500여 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과 비재무적 리스크 관리 역량을 평가하며, 최고 AAA부터 최저 CCC까지 7단계 등급을 부여한다. 이번에 한화시스템이 받은 AAA는 전 세계 우주항공·방산 부문 평가 대상 기업 중 상위 7% 이내 기업만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국내 방산기업이 이 등급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
박희승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사망한 환자 수가 지난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기자 수와 대기일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반면, 뇌사 장기 기증자 수는 줄어들고 있어 장기이식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
22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가 2020년 2,191명에서 2024년 3,096명으로 1.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장기별로는 신장이 1,676명(54.1%)으로 가장 많았고, 간장 1,117명(36.1%), 심장 142명(4.6%), 폐 88명(2.8%), 췌장 72명(2.3%) 순이었다.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2020년 3만5,852명에서 2024년 8월 기준 4만6,935명으로 1.3배 증가했다. 이 중 신장이 3만6,901명(78.6%)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간장 6,609명(14.1%), 췌장 1,602명(3.4%), 심장 1,271명(2.7%) 등이 뒤를 이었다.
대기 기간도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신장 이식 대기일 수는 2020년 2,222일에서 올해 2,963일로, 약 8년 1개월까지 늘어났다. 췌장은 같은 기간 1,391일에서 2,800일로 두 배 이상 증가해 수년간 생존 가능성을 유지하며 대기해야 하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식을 위한 장기 공급은 줄고 있다. 뇌사 장기 기증자는 2016년 573명에서 2023년 397명으로 감소했고, 기증 건수 역시 1,888건에서 1,377건으로 줄어들었다. 인구 100만명당 뇌사 기증률은 한국이 7.75명으로, 미국(28.4명), 스페인(26.22명), 스웨덴(17.1명), 독일(11.44명), 영국(10.28명) 등에 크게 못 미쳤다.
박희승 의원은 “의료 시스템 불안정과 장기기증 인식 부족이 겹치면서, 이식을 받지 못해 사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정부는 기증자 예우를 강화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 및 기증 희망 등록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케데헌 드론라이트쇼 앙코르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