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혜경 여사--- ‘한복, 내일을 날다’ APEC 기념 패션쇼 관람
  • 김영미 기자
  • 등록 2025-10-30 09:13:22
  • 수정 2025-10-30 18:19:14

기사수정
  • 2025 APEC 정상회의 기념 ‘한복패션쇼’, 한식·한옥·한지·한글 융합한 5韓 스토리텔링 무대
  • “한복은 사람과 시대를 잇는 예술”


김혜경 여사가 29일 오후 경북 경주 교동 월정교 특설무대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한복패션쇼`에 참석하고 있다. 

김혜경 여사가 ‘2025 APEC 정상회의 기념 한복패션쇼’를 관람하며, 한복의 전통과 미래를 아우르는 무대에서 세계 각국 귀빈들과 함께 K-컬처의 정수를 나눴다.


김혜경 여사는 29일 오후 경주 교동 월정교 수상특설무대에서 개최된 ‘2025 APEC 정상회의 기념 한복패션쇼’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한복, 내일을 날다’를 주제로 열렸으며, 한복을 중심으로 한식·한옥·한지·한글 등 5韓 콘텐츠를 융합한 스토리텔링형 패션쇼로 구성됐다.

 

이번 패션쇼에는 다이애나 폭스 카니 캐나다 총리 배우자, 정구호 예술감독을 비롯해 APEC 정상회의 참가자와 일반 시민들이 함께 자리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무대를 감상했다.

 

경주 월정교의 수상무대 위에서 펼쳐진 이번 공연은 천 년 전 신라 복식에서부터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하는 현대 한복, 그리고 AI 기술이 결합된 미래형 한복까지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연출 됐다.

 

김 여사는 관람 중 캐나다 총리 배우자에게 ‘갓’을 가리키며 “한국의 전통 모자인 갓이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고 소개했다.

 

이어 형형색색의 한복이 지닌 상징성과 미적 가치에 대해 담소를 나누며, 한복이 단순한 의복을 넘어 세계 문화 속에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평소 한복과 전통문화에 깊은 애정을 보여온 김 여사는 이날 “한복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는 한복인들과 시민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K-컬처의 확산을 통해 한복의 가치가 더 넓은 세상으로 날아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은수 부대변인은 “이번 한복패션쇼는 한복의 날갯짓이 사람과 사람, 과거와 미래를 잇는 ‘연결의 예술’임을 보여준 무대였다. 경주 월정교의 역사적 공간에서 세계가 함께 한국의 미를 느낄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라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길상사, 자야와 백석의 사랑 조선시대 유명한 명기 황진이는 옆집 총각이 자기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그만 상사병으로 죽게 된 사실을 알고서 세상 일을 다 접고 기생의 길로 들어섭니다.시심(詩心)이 풍부한 여성으로 '남자의 사랑'에 대한 호기심이 남달랐다는 생각이 듭니다.어느 누가 황진이를 비천한 기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가 남긴 시(詩)는 심...
  2. 사라진 도깨비여 부활하라! 현대문명에 밀리어 수 천년 내려온 것들 가운데 사라진 것이 많아져 여간 아쉽지 않다. 우선 도깨비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도깨비라는 좀 두려운 것이었다.도깨비는 동물이나 사람의 허상을 한 일종의 귀신인데 산길이나 들길에서 마주친다고 한다.도깨비는 사라지고 없지만  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셈이...
  3. 아름다운 손주 이야기 손주란 손자와 손녀 그리고 외손자와 외손녀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물론 손주가 없어 대(代)가 끊기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인간이 수많은 별 가운데 지구에 태어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가장 커다란 족적은 역시 가정을 이루어서 대(代)를 이어 나가는 것임을 필자는 여러 번 밝힌 바 있다.이는 박사 학위 논문을 여..
  4. 못생긴 호박과 모과 소싯적에 못생긴 여자를 일컬어 호박같다고 했다.더러는 모과같다는 표현도 서슴없이 쓰기도 했다.우선 호박은 펌퍼짐하게 생겨서 넉넉하게 보이긴 하지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다.그러나 호박은 구르는 재주가 있으며 넝쿨째로 복이 굴러온다고 했다.20세기부터 항암작용을 하는 식품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지금은 제대로 평가를 받..
  5. '하늘의 복'을 받은 책벌레 이야기 책에도 벌레가 생겨서 기생하기 마련이다. 이름 하여 절지동물에 속하는 충(蟲)이다.그보다 책에 파묻혀 지내는 독서광을 라고 한다. 몇 해 전 400여 쪽이나 되는 책을 몇 권 선물로 받아서 연달아 다 읽은 적이 있다. 소중한 시간을 그냥 보내면 낭비하는 듯하여 책을 읽는다. 읽는 습관이 저절로 쌓인 듯하다.자투리 시간도 아까워 스마트폰..
  6. ‹MUNDUS–빛은 동방에서›, 도예가 이종능 전시회 도예가 이종능 작가가 오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서울 인사동 통인화랑 3층에서 개인전 ‘MUNDUS’를 선보인다. 전시 제목 ‘MUNDUS’는 라틴어로 ‘세상’ 혹은 ‘우주’를 뜻하며, 작가는 흙을 매개로 생명의 순환과 우주적 에너지를 도자 작품에 담았다. 대표작 ‘Aurora ex Marte(화성에서 온 오로라)’와 ‘Anthle...
  7. 구로구, 1인 가구 어르신 대상 건강 요리 교실 운영 구로구가 1인 가구 어르신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건강 요리 교실을 운영한다.서울 구로구(구청장 장인홍)는 오는 11월 10일부터 27일까지 관내 65세 이상 1인 가구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 요리 교실을 연다. 이번 프로그램은 혼자 식사를 준비하는 어르신들이 스스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