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태아(胎兒)때의 기억
  • 海垣, 이경국 칼럼니스트
  • 등록 2025-10-31 10:52:38

기사수정

海垣, 이경국(칼럼니스트)일생을 주먹구구식으로 소가 되새김질 하듯 훑어보면 재미가 여간 쏠쏠하지 않다. 어머니 뱃속에 태아로 있을 때가 가장 행복한 기간이라고 흔히 말한다.


그 기간에 나이도 한 살 먹게 되며 아기는 50억 생을 기억한다고 하니 엄청난 기간이 아닐까 싶다.


자궁(子宮)은 왕궁 (王宮)과 같으며, 가장 깨끗한 바다와 같은 곳이다. 아기는 어머니의 태(胎)를 통해 숨을 쉬면서 자란다. 태로 호흡을 하니 생명줄인 셈이다. 


280여 일의 시간이 지나면 용하게도 세상으로 나온다. 포유류 가운데 인간의 산도 (産道)가 가장 좁다고 한다. 아기와 어머니의 고통이 클 뿐만 아니라 교감도 가장 크게 하는 때라고 한다.  


지금은 무통주사나 재왕절개로 출산을 하니 귀한 교감의 순간을 박탈 당하는 셈이다. 게다가 모유를 피하고 소 젖으로 키우니 효자가 나올 턱이 없는 세상이다. 


아기는 스스로 깨쳤는지 모르겠으나 주먹을 꼭 쥐고 몸을 비틀면서 태을(太乙 )자세로 나온다. 이미 한번은 태어나면서 누구나  이머니께 효도(孝道)를 한 셈이다. 아기는 어른이 먹으면 탈이 나는 젖을 먹고 잘 자란다.


여자의 윗옷은 참으로 작다. 가슴 넓이가 남자에 비해 워낙 좁다. 그렇게 되어야 아기가 한쪽 젖을 물고 손으로 다른 젖을 만질 수 있다.


조물주는 참으로 인체의 창조에 세밀한 흔적을 남겼으니 감탄이 절로 나온다. 유방 사이가 좁은 것은 엄청난 비밀이 숨겨 있는 일종의 묘유(妙有)한 일이 아닐까 싶다.


유아기를 거치지 않는 사람은 아담과 하와뿐일 것이다. 단번에 잉태 기간도 없이 어른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드물긴 하지만 난생 (卵生)으로 태어난 인간도 있긴 하다. 박혁거세와 김알지다. 신화이긴 하지만 따지고 보면 조류(鳥類)와 같다는 얘기인데, 그것이 그렇게 신성스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인간의 본능과 동물의 본성은 경이로운 구석이 있다. 아기의 '젖 빠는 힘'은 강하다. 


상상력이 풍부하면 유아 때는 물론이고 어머니 뱃속 짧은 기간도 연상이 가능하다니 신비롭다.


추억은 이런 것이지 <살인의 추억>은 잘못된 표현이다. 추억은 '아름다운 기억'이지만 살인은 악몽같은 아픈 기억일 뿐이기 때문이다.


영화제목이 가당찮다는 생각이다. <환희의 성폭행>이란 말이 되기나 하나 싶다.


어찌하여 세상이 부모를 모르는 시대로 변해 버리는지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니다. "까마귀도 효를 안다"고 했는데 까마귀보다도 못한 인간이다.


출산을 하지 않는 암흑 시대인데 그나마 효성이 없으니... 특히 정치판이 인간의 심성을 추접스럽게 하고 있다. 뉴스를 보기 싫은 시대는 한 마디로 더럽고 추한 세상일 것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길상사, 자야와 백석의 사랑 조선시대 유명한 명기 황진이는 옆집 총각이 자기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그만 상사병으로 죽게 된 사실을 알고서 세상 일을 다 접고 기생의 길로 들어섭니다.시심(詩心)이 풍부한 여성으로 '남자의 사랑'에 대한 호기심이 남달랐다는 생각이 듭니다.어느 누가 황진이를 비천한 기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가 남긴 시(詩)는 심...
  2. 사라진 도깨비여 부활하라! 현대문명에 밀리어 수 천년 내려온 것들 가운데 사라진 것이 많아져 여간 아쉽지 않다. 우선 도깨비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도깨비라는 좀 두려운 것이었다.도깨비는 동물이나 사람의 허상을 한 일종의 귀신인데 산길이나 들길에서 마주친다고 한다.도깨비는 사라지고 없지만  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셈이...
  3. 아름다운 손주 이야기 손주란 손자와 손녀 그리고 외손자와 외손녀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물론 손주가 없어 대(代)가 끊기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인간이 수많은 별 가운데 지구에 태어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가장 커다란 족적은 역시 가정을 이루어서 대(代)를 이어 나가는 것임을 필자는 여러 번 밝힌 바 있다.이는 박사 학위 논문을 여..
  4. 못생긴 호박과 모과 소싯적에 못생긴 여자를 일컬어 호박같다고 했다.더러는 모과같다는 표현도 서슴없이 쓰기도 했다.우선 호박은 펌퍼짐하게 생겨서 넉넉하게 보이긴 하지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다.그러나 호박은 구르는 재주가 있으며 넝쿨째로 복이 굴러온다고 했다.20세기부터 항암작용을 하는 식품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지금은 제대로 평가를 받..
  5. '하늘의 복'을 받은 책벌레 이야기 책에도 벌레가 생겨서 기생하기 마련이다. 이름 하여 절지동물에 속하는 충(蟲)이다.그보다 책에 파묻혀 지내는 독서광을 라고 한다. 몇 해 전 400여 쪽이나 되는 책을 몇 권 선물로 받아서 연달아 다 읽은 적이 있다. 소중한 시간을 그냥 보내면 낭비하는 듯하여 책을 읽는다. 읽는 습관이 저절로 쌓인 듯하다.자투리 시간도 아까워 스마트폰..
  6. ‹MUNDUS–빛은 동방에서›, 도예가 이종능 전시회 도예가 이종능 작가가 오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서울 인사동 통인화랑 3층에서 개인전 ‘MUNDUS’를 선보인다. 전시 제목 ‘MUNDUS’는 라틴어로 ‘세상’ 혹은 ‘우주’를 뜻하며, 작가는 흙을 매개로 생명의 순환과 우주적 에너지를 도자 작품에 담았다. 대표작 ‘Aurora ex Marte(화성에서 온 오로라)’와 ‘Anthle...
  7. 구로구, 1인 가구 어르신 대상 건강 요리 교실 운영 구로구가 1인 가구 어르신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건강 요리 교실을 운영한다.서울 구로구(구청장 장인홍)는 오는 11월 10일부터 27일까지 관내 65세 이상 1인 가구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 요리 교실을 연다. 이번 프로그램은 혼자 식사를 준비하는 어르신들이 스스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