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름다운 손주 이야기
  • 海垣, 이경국 칼럼니스트
  • 등록 2025-11-04 11:49:24

기사수정

海垣, 이경국(칼럼니스트)손주란 손자와 손녀 그리고 외손자와 외손녀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물론 손주가 없어 대(代)가 끊기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인간이 수많은 별 가운데 지구에 태어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가장 커다란 족적은 역시 가정을 이루어서 대(代)를 이어 나가는 것임을 필자는 여러 번 밝힌 바 있다.


이는 박사 학위 논문을 여러 편 남기는 것보다 귀하다. 자식이란 수 억 년을 통해 지구에 기여하는 것임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해외에 나가 살면서 고향을 잊지 못해 향수병에 걸리는 것은 어머니가 계신 곳, 처음으로 말을 배운 모국(母國)이기 때문이다.


나같은 성격은 해외에서 살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심한 우울증에 걸리고도 남을 소지가 높다. 


해외에 나가서 살 절호의 기회가 있었으나 고령의 부모님과 멀리 떨어져서 산다는 것은 생각조차 하기 싫어서 포기하고 말았다.


직업이나 배우자의 선택은 팔자와 연관이 있다고 본다. 이 두 가지는 가장 어려운 선택일 것이다. 


갑순이와 결혼하거나 순자와 결혼하는 경우 엄청난 차이가 생기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당연히 손주도 다르게 태어날 수 밖에 없다. 시대가 아무리 바뀐다 하더라도 손주는 많을수록 좋다고 본다.


소싯적에 어른들은 손주가 많으면 무척이나 좋아하셨다. 틀린 말이 아니다. 먹을 게 없어서 입을 덜기 위해 일찍 시집을 보내기까지 하던 시대였다.


그렇게 고생을 했기에 우리나라는 초고속 성장으로 최단기에 선진국에 이르게 된 것이다. 지금의 인구절벽은 정책의 실패로 보인다. 일본과 중국에 비교하면 답이 절로 보인다.


'인생의 마지막 선물'이 손주임은 틀림이 없다. 이는 어릴 때 받은 어머니 사랑을 손주에게 주면서 갚으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삶은 벨런스다. 주고 받음의 균형이 필요하다. 한 치의 어긋남이 없는 세상이다. 어머니 사랑을 잔뜩 받고 살았으면서 사랑을 돌려줄 손주라는 대상이 없다는 것은 '복을 짓다(造福)'에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손주 사랑'을 모르고 노년을 보내는 것은 사실 무인도 생활과 다를 바 없다고 본다. 


통학버스 안에서 고사리 손을 흔들던 손자가 벌써 5학년이 되었다. 한 집에 3대가 살고 있는데도 늘 보고 싶은 손주다. '하늘이 내려준 선물'이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손자 승준이는 축구를 좋아하며 모든 선수에 대한 정보를 꿰뚫고 있다. 경기 해설도 가능하니 필자가 팔불출 소리를 듣더라도 그저 좋기만 하다.


제 자랑은 사실 팔불출이지만 누구나 '손주 자랑'에는 침이 마른다. 손주는 '인생의 마지막 선물'이니 마음껏 자랑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길상사, 자야와 백석의 사랑 조선시대 유명한 명기 황진이는 옆집 총각이 자기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그만 상사병으로 죽게 된 사실을 알고서 세상 일을 다 접고 기생의 길로 들어섭니다.시심(詩心)이 풍부한 여성으로 '남자의 사랑'에 대한 호기심이 남달랐다는 생각이 듭니다.어느 누가 황진이를 비천한 기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가 남긴 시(詩)는 심...
  2. 사라진 도깨비여 부활하라! 현대문명에 밀리어 수 천년 내려온 것들 가운데 사라진 것이 많아져 여간 아쉽지 않다. 우선 도깨비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도깨비라는 좀 두려운 것이었다.도깨비는 동물이나 사람의 허상을 한 일종의 귀신인데 산길이나 들길에서 마주친다고 한다.도깨비는 사라지고 없지만  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셈이...
  3. 아름다운 손주 이야기 손주란 손자와 손녀 그리고 외손자와 외손녀를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물론 손주가 없어 대(代)가 끊기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인간이 수많은 별 가운데 지구에 태어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가장 커다란 족적은 역시 가정을 이루어서 대(代)를 이어 나가는 것임을 필자는 여러 번 밝힌 바 있다.이는 박사 학위 논문을 여..
  4. 못생긴 호박과 모과 소싯적에 못생긴 여자를 일컬어 호박같다고 했다.더러는 모과같다는 표현도 서슴없이 쓰기도 했다.우선 호박은 펌퍼짐하게 생겨서 넉넉하게 보이긴 하지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다.그러나 호박은 구르는 재주가 있으며 넝쿨째로 복이 굴러온다고 했다.20세기부터 항암작용을 하는 식품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지금은 제대로 평가를 받..
  5. '하늘의 복'을 받은 책벌레 이야기 책에도 벌레가 생겨서 기생하기 마련이다. 이름 하여 절지동물에 속하는 충(蟲)이다.그보다 책에 파묻혀 지내는 독서광을 라고 한다. 몇 해 전 400여 쪽이나 되는 책을 몇 권 선물로 받아서 연달아 다 읽은 적이 있다. 소중한 시간을 그냥 보내면 낭비하는 듯하여 책을 읽는다. 읽는 습관이 저절로 쌓인 듯하다.자투리 시간도 아까워 스마트폰..
  6. ‹MUNDUS–빛은 동방에서›, 도예가 이종능 전시회 도예가 이종능 작가가 오는 12월 3일부터 7일까지 서울 인사동 통인화랑 3층에서 개인전 ‘MUNDUS’를 선보인다. 전시 제목 ‘MUNDUS’는 라틴어로 ‘세상’ 혹은 ‘우주’를 뜻하며, 작가는 흙을 매개로 생명의 순환과 우주적 에너지를 도자 작품에 담았다. 대표작 ‘Aurora ex Marte(화성에서 온 오로라)’와 ‘Anthle...
  7. 구로구, 1인 가구 어르신 대상 건강 요리 교실 운영 구로구가 1인 가구 어르신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건강 요리 교실을 운영한다.서울 구로구(구청장 장인홍)는 오는 11월 10일부터 27일까지 관내 65세 이상 1인 가구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 요리 교실을 연다. 이번 프로그램은 혼자 식사를 준비하는 어르신들이 스스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