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국내 방산기업 최초 MSCI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 ‘AAA’ 획득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AA’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MSCI는 전 세계 8500여 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과 비재무적 리스크 관리 역량을 평가하며, 최고 AAA부터 최저 CCC까지 7단계 등급을 부여한다. 이번에 한화시스템이 받은 AAA는 전 세계 우주항공·방산 부문 평가 대상 기업 중 상위 7% 이내 기업만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국내 방산기업이 이 등급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
이재명 대통령은 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방문해 세계 최초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의 작동 원리와 연구 성과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찾아 초전도 핵융합장치 KSTAR 운영 현황과 미래 에너지 전략을 점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7일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 일정에 앞서 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하 핵융합연)을 방문했다.
AI 시대 전력 수요 급증과 탄소 중립이라는 이중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핵융합 연구개발(R&D)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현장 연구진의 노고를 격려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이 대통령은 세계 최초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 시설을 둘러보며 작동 원리와 연구 성과에 대한 설명을 주의 깊게 경청했다.
"KSTAR가 앞으로 핵융합 반응을 통한 전력 생산에 최적화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을 들은 이 대통령은 장비를 살펴보며 “연구장치를 영구적으로 돌릴 수 있느냐”, “중수소, 삼중수소 같은 연료 투입이 24시간 가능한가” 등 질문을 하며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특히 10m 높이의 핵심장치를 직접 가리키며 “주로 어떤 연구를 하는 것이냐”고 물었고, 플라스마 발생 원리, 핵융합 반응 기제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남용운 KSTAR 연구본부장은 “KSTAR 건설을 통해 핵융합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데 성공했다. 이제부터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한국형 실증로 개발을 통해 핵융합 상용화의 시대를 앞서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방문에는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김용범 정책실장,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 등이 동행했다.
케데헌 드론라이트쇼 앙코르공연